[미니PC 자작 NAS] AdGuard Home으로, DNS 사용하여 앱 설치 없이 웹페이지 광고 차단하기


들어가며

Unraid를 소개하면서, Docker 이미지를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설명하였습니다

그래서, 개인적으로 잘 사용하고 있는 몇 가지 Docker 앱들을 소개해보고자 합니다.

이번에는 AdGuard Home에 관련한 내용입니다

인터넷을 돌아다니다 보면, 너무나 많은 광고가 나타납니다.

그래서 Adblock이 거의 필수로 자리잡았고, 관련한 앱들도 다양하게 판매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DNS 방식의 Adblock이 한 때 주목을 받기도 하였습니다.

DNS 방식을 사용하면 앱 설치를 하지 않아도 광고 차단이 가능했고

아이패드 제품군에서, Safari가 아닌 "네이버 웨일"같은 기타 브라우저 앱에서 광고 차단이 가능했기에 사용을 많이 했었습니다. [각주:1]

현재도 AdGuard DNS를 통해서 바로 설정이 가능합니다만

UNRAID를 구매한 김에 Docker로 AdGuard Home을 설치하여, 가정용 AdGuard DNS를 구축해보았습니다.

계획은 이렇습니다.

단, 안드로이드는 별도의 설정 필요

Unraid에서 AdGuard Home을 Docker로 생성함에 있어서

192.168.0.6에서 80번 포트와 3000번 포트가 기존에 사용하던 포트와 겹치기도 하고

포트 넘버가 계속 바뀌면 저도 혼동이 와서

브릿지로 192.168.0.7이라는 주소를 고정 IP로 지정하는 것으로 결정하였습니다.

 

조금 더 나아간다면, DDNS를 걸어서 역방향 프록시를 설정하면 외부에서도 AdGuard Home을 사용하도록 만들 수 있다고 하는데

개인적으로 UNRAID를 포트포워딩하여, 외부와 연결시킬 계획은 현재 없기 때문에 이것은 건너뛰었습니다.

설치해보았습니다

Unraid 서비스에 접속 후 -> Apps에 들어가서 AdGuard Home을 설치해주었습니다

네트워크 종류에서 Custom:br0 으로 설정 후 고정 IP주소를 직접 입력해주고

권한 상승을 진행하였습니다

문제는 여기에서, "권한 상승"을 진행시켰음에도 실제 Docker가 폴더에 Permission이 없다는 경고가 나타났습니다.

그리하여 AdGuard 관련 폴더의 권한을 직접 수정해주었습니다.

일단은 이렇게 권한을 넣어주니, 작동은 했습니다만 "그 외"라는 부분을 읽기/쓰기 권한을 줬다는 점이 조금 마음에 걸립니다.

폴더의 권한을 주는 부분에 있어서, 세세하게 조절할 수 없는 부분이 조금은 아쉽게 느껴집니다.

이후 설정한 IP에 접속하면, 초기 설정 창이 나타납니다. 

관리자 ID와 PW를 등록하면 바로 대시보드로 접속이 가능합니다.

안드로이드와 프라이빗 DNS

Windows, Mac OS, iPad OS 같은 경우에는 IP주소를 통한 DNS 설정이 가능하나

"안드로이드" 제품군의 경우에는 IP주소 입력으로 DNS 설정이 불가능하고

프라이빗 DNS 기능을 통한 DNS 설정만 가능합니다.

그리하여, IP 주소 입력을 통한 DNS 연결을 원한다면 서드파티 앱을 설치해야하는데

그렇게 된다면, 앱 설치 없이 Adblock을 사용할 목적으로 AdGuard Home을 구축한 것인데

그것에 대한 의미가 없어지게 되는 것 입니다.

물론 AdGuard Home에서도 프라이빗 DNS를 통한 연결을 만들 수 있습니다.

다만 설명서를 보니,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SSL 인증서를 비롯한 외부와의 연결이 불가피해보이기에, 시도하지는 않았습니다.

광고 필터 추가와 작동 테스트

그렇다면, 안드로이드가 아닌 다른 OS에서 AdGuard Home을 DNS로 연결하였을 때 광고 차단이 얼마나 되는지 확인해봅시다.

그 전에, AdGuard Home에서 광고 필터를 추가해주어야합니다.

상단의 필터 -> DNS 차단 목록에 들어간 다음

"차단 목록 추가" -> "목록에서 선택"을 눌러주면 차단 목록 리스트들이 나옵니다.

개인적으로는 "일반 목록" 부문만 선택해주는 것을 권장합니다.

아래쪽을 살펴보면 "지역 목록" 필터도 있으나, 여기에 있는 "지역 목록" 필터를 사용하게 되면 국내 포털 사이트 기능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더보기

이런 식으로 네이버 뉴스의 이미지 자체가 필터링 되기도 하며

네이버 메인의 쇼핑 관련 내용이 통으로 접속이 진행되지 않습니다


아이패드에서 DNS를 AdGuard Home으로 설정하여, Google Chrome 앱을 통해 Adblock Test를 진행해보았습니다.

대부분의 광고가 차단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론

기존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Adguard DNS의 경우, 속도가 현저하게 느려지는 현상이 있으며

DNS 스푸핑[각주:2] 에 대해서도 걱정이 되는 것이 사실입니다.

AdGuard Home을 연결하였을 때는 그러한 속도 감소가 없다는 점은 매우 긍정적입니다.

다만, AdGuard가 필요한 사이트를 차단하는 경우도 더러 존재하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추천드리는 설정 방식은, 공유기의 게스트 모드를 활성화 해둔 후

게스트 모드의 와이파이에 AdGuard HOME을 거쳐서 가도록 설정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1. 다만 최근에는 iOS와 iPad OS 제품군에서도 Extension을 지원하는 "Orion"이라는 앱이 생겨서 이제는 이 방식을 사용하지 않아도 됩니다. [본문으로]
  2. 해킹의 하위 분류 중 하나. DNS 서버로 보내는 질문을 가로채서 변조된 결과를 보내주는 것으로 중간자 공격의 일종 (나무위키 "DNS 스푸핑" 개요) [본문으로]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