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29 - [2025] - [미니PC 자작 NAS] 자작NAS의 시작, Xpenology? 우분투? 어떤 것을 사용할까?자작NAS의 가장 대표적인 OS라고 물어본다면, Xpenology라고 대답할 것 입니다.옛날 DSM 6 버전에서는 USB의 ID 값을 로더에 넣고 그것을 굽는 형태로 진행했었는데DSM 7 이후로는 로더가 전부 알아서 해주는 매우 쉬운 구축이 가능해졌습니다이전 글에서도 언급하였지만 'Xpenology에 대한 정보는 구글에서 쉽게 찾을 수 있기'에 더 언급하지는 않겠습니다.본래 Xpenology는 M.2 SSD에 대해서 캐시만 지원하던 터라.. 설치를 위해서는 SATA가 필수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문제는 제가 사용하는 N100이 들어있는 미니 PC가 NVME M.2..
지난 2~3년 동안 짧은 기간이지만, 다양한 회사나 기관을 거쳐가면서 느꼈던 점이'회사마다 사용하는 기기는 대부분 비슷하구나-' 였습니다.2024.04.04 - [2024] - 교세라 복합기(Kyocera M5521Cdn) 원격 스캔 프로그램 사용하여, 스캔 사용하기위 글은 교세라 M5526CDN에 대해서, Quick Scan Tool을 사용하여 PC에서 원격 조종을 하여M5526CDN에서 스캔을 진행하는 방식을 소개했던 적이 있습니다.다만, 일부 사용자들이 기기에서 직접 버튼을 눌러 PC로 전송할 수 있는 방법은 없는가? 에 대한 질문을 주셨습니다.찾아보니, 주소록을 통한 FTP 전송을 진행하면 스캔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FTP 21번 포트를 열어주는 프로그램을 아무거나 사용해도 상관은..
NAS라는 물건에 대해 알게 된 것은 5년 전이었다.당시, 네트워크에 연결해서 사용하는 외장하드같은 무언가가 있다는 정보를 듣고그때 처음으로 NAS에 대해 알게 되었으며, 첫 기기로 중고나라 카페에서 찾은 DS115j를 서울에서 거래해서 가져왔었다.DS115j를 사용하면서, Webdav + DDNS + 포트포워딩 같은 기능들을 이럴 때 사용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다행히 DDNS와 포트포워딩의 경우에는, 기껏 사용해봐야 '마인크래프트의 서버를 열 때 사용한다'는 수준으로 알고 있었다.사실 이 정도면 NAS를 운용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지식은 대부분 알고 있던 것이었다. (여기에서 내가 더 배워야 했던 것은 역방향 프록시를 구축하는 정도였다)DS115j를 사용하면서 크게 불편한 점은 없었다. 다만, 하드웨..
이전에 프로모션으로 가입하였던 요금제가 혜택 기간이 끝나고 다른 통신사로 번호이동을 하였습니다(KT알뜰 -> SKT 알뜰)번호이동 및 유심 교체를 완료하고셋팅을 모두 끝냈는데삼성페이쪽에 교통카드를 다시 등록하려고 하니"미지원 단말 모델"이라는 경고가 나타납니다뭐 유심이 잘못되었으니 재발급 받으라는 말도 있고SKT향 기기에 유심을 넣어보라는 말도 있고유심을 재장착 해보라는 말도 있는데기기랑 사용하는 통신사가 달라서 안된다는것은 이제는 옛날 이야기라 해당사항이 없습니다이게 어쨌든, 이 유심은 지금 교통카드가 등록되지 않은 새 유심이니까"교통카드가 한번 등록되면 된다"는 생각이 들더군요그래서 플레이 스토어에서, 충전식 "모바일 티머니"를 발급받은 후모바일 티머니 삭제, 이후 삼성페이에서 교통카드 등록을 시도하..